반응형
연차휴가 및 하기휴가와 같은 휴가일에 근무를 하게 될 경우 근로에 대한 수당은 어떻게 계산하여 지급하여야 할까요? 휴일근무수당을 적용하여 50% 임금을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할까요? 연차 및 휴가일 근무수당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휴일과 휴가일의 차이
연차 및 휴가사용일 근로수당을 계산하기 위해 우선 휴일과 휴가일 차이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휴일 | 휴가일 | |
정의 | 근로기준법상 휴일이란, 근로자가 사용자에 대하여 근로제공의무가 없는 날을 말함 (근기 68207-883, 1995.12.15) |
사용자가 근로자의 노무를 수령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사용자가 그 날의 근로제공의무를 면제시켜 주는 것을 의미 (근기 68207-883 1999.12.15) |
예시 |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른 주휴일,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공휴일, 대체공휴일, 근로자의 날, 그 밖에 취업규칙 등에서 휴일로 정한 날(약정휴일) |
연차유급휴가, 하기휴가, 경조휴가, 그 밖에 취업규칙 등에서 휴가일로 정한 날(약정휴가일) |
- 우선 휴일이란 애초에 '근로제공 의무가 없는' 날로, 주휴일, 공휴일, 대체공휴일,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따른 근로자의 날이 여기에 속합니다. 참고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따른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은 사업장 규모에 따라 휴일 여부가 단계적으로 적용되었는데요,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.
민간기업 관공서 공휴일 유급휴일 적용(☆30인이상 사업장 2021년 시행☆)(부제: 법정휴일과 법정공휴일)
- 위에서 나열된 법정 휴일 이외에도 취업규칙 등에서 별도로 휴일로 정한 약정 휴일이 있다면 이 또한 휴일이 됩니다.
- 휴가일이란 근로자의 노무를 수령할 수 있는 날임에도 사용자가 근로 제공의무를 면제시켜주는 날로, 법정휴가인 연차휴가 및 사업장별로 취업규칙 등에서 정한 하기휴가, 경조휴가 등의 약정휴가를 의미합니다.
휴일과 휴가일의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휴일근무수당의 적용 여부 때문인데요, 근로기준법 제56조 제2항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8시간 이내의 휴일근무를 한 경우 통상임금의 50% 이상의 가산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. 8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통상임금의 100%를 가산수당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. 따라서 휴일이 아닌 연차휴가사용일 또는 하기휴가 사용일에 근무를 하였더라도 휴일근로 가산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. 휴가일은 휴일이 아니기 때문이죠. 휴일가산수당을 적용받지 않더라도 휴가일에 근무하였다면 근무에 대한 임금은 당연히 지급받아야 할 텐데요, 그렇다면 휴가일에 근무한 경우 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2. 휴가일 근무수당 계산
CASE 1. 반차사용일 근무(6시간)
기본급 | 휴가일 근무수당 | 총 급여 |
1,914,440원 | 18,320원 (9,160원(통상시급) x 2시간) |
1,932,760원 |
- 1일 8시간, 주 40시간 근무하는 월급제 근로자(월급여액 1,914,440원)가 반차사용일에 6시간 근무한 경우 지급받아야 하는 임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- 우선 반차사용일은 휴가일이므로 휴일가산수당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근로한 시간에 따른 시간급 급여를 계산하여 지급하게 됩니다.
- 즉, 반차사용일에는 4시간의 근로만 제공하면 되지만 6시간의 근로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나머지 추가 2시간 분의 근로는 월급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상시급 x 2시간의 근무수당(18,320원)을 추가로 지급하여야 합니다.
- 따라서 해당월의 총급여는 기본급 1,914,440원에 반차사용일 2시간 추가 근로분인 18,320원을 더한 총 1,932,760원을 지급하여야 합니다.
CASE 2. 하기휴가일 근무(3시간)
기본급 | 휴가일 근무수당 | 총 급여 |
1,914,440원 | 27,480원 (9,160원(통상시급) x 3시간) |
1,941,920원 |
- CASE 1과 같은 상황의 근로자가 하기휴가일에 부득이한 사유로 출근하여 3시간 근무 후 퇴근하였을 경우 지급받아야 하는 임금은 어떻게 될까요?
- 마찬가지로 하기휴가일은 휴일이 아니므로 휴일가산수당은 적용되지 않고 근로한 시간만큼의 시간급 급여를 계산하여 지급하게 됩니다.
- 이때 휴가일에 근로한 3시간은 월급에 포함되어 있는 근로가 아니므로 해당월의 총급여는 기본급 1,914,440원에 통상시급 x 3시간 근무수당(27,480원)을 추가로 지급하여 총 1,941,920원을 지급하여야 합니다.
반응형
'인사 > 급여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과세 근로소득 종류/ 금액(한도) - 사택제공 이익(월세,관리비) (0) | 2022.05.13 |
---|---|
사업소득/ 기타소득 구분 기준, 종류, 세율, 기타소득 과세최저한 (0) | 2022.05.09 |
중도입사자/ 중도퇴사자 월급 일할계산 방법 (3) | 2022.05.03 |
통상임금이 최저임금보다 작은 경우(최저임금 위반여부, 연장/휴일/야간,연차수당 최저임금 이상 지급여부) (0) | 2022.04.13 |
퇴사자 연차수당 계산(회계연도기준 연차부여 사업장 퇴직 정산) (0) | 2022.04.11 |